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헌 옷이 쌓여 있는데 어디에 버려야 할지 막막하신가요? 광주시 전 지역에 설치된 헌옷수거함을 이용하면 환경보호는 물론 어려운 이웃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올바른 이용방법만 알면 누구나 쉽게 기부할 수 있습니다.





    광주시 헌옷수거함 위치별 이용방법

    광주시 전 5개 구에 총 300여 개의 헌옷수거함이 설치되어 있으며, 아파트 단지 내 및 주요 상권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동구 65개소, 서구 80개소, 남구 70개소, 북구 55개소, 광산구 90개소로 배치되어 있으며, 24시간 언제든지 이용 가능합니다. 수거함 앞면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실시간 위치 확인이 가능하며, 만료된 수거함은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요약: 광주시 전체 300여 개소 설치, 24시간 이용 가능, QR코드로 실시간 위치 확인

    주말 수거시간과 배출방법

    주말 수거 운영시간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정기 수거가 진행됩니다. 공휴일에는 수거가 중단되므로 평일이나 주말에 배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배출방법

    의류는 깨끗하게 세탁한 후 완전히 건조시켜 투명한 비닐봉지에 담아 배출합니다. 수거함 투입구 크기는 가로 40cm, 세로 20cm이므로 큰 의류는 접어서 넣어야 합니다.

    배출 시 주의사항

    젖은 옷이나 오염된 의류는 절대 배출하지 말고, 수거함이 가득 찬 경우 억지로 넣지 말고 인근 다른 수거함을 이용하세요. 배출 후에는 투입구를 완전히 닫아주시기 바랍니다.

    요약: 주말 수거 운영, 세탁 후 건조시켜 투명봉지에 배출, 투입구 크기 확인 필수
    반응형

    기부 가능한 품목 총정리

    상의, 하의, 외투, 속옷, 양말, 모자, 스카프, 넥타이, 벨트 등 모든 의류 및 패션소품이 기부 가능합니다. 단, 찢어지거나 심하게 변색된 옷, 애완동물 털이 묻은 의류, 곰팡이가 핀 옷은 기부할 수 없으며, 신발이나 가방류는 별도의 전용 수거함을 이용해야 합니다. 아동복의 경우 성장으로 인해 입지 못하게 된 깨끗한 옷이라면 언제든지 기부 가능하며, 특히 교복은 후배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요약: 모든 깨끗한 의류 및 패션소품 기부 가능, 오염되거나 손상된 의류는 배출 불가

    놓치면 안되는 이용 꿀팁

    헌옷 기부 시 세탁표시를 확인하여 드라이클리닝 전용 의류는 미리 세탁소에서 처리한 후 기부하면 재활용률이 높아집니다. 계절별로 적절한 시기에 기부하는 것이 좋으며, 겨울옷은 11월부터 1월까지, 여름옷은 4월부터 6월까지 기부하면 즉시 필요한 분들에게 전달됩니다.

    • 브랜드 태그는 그대로 두고 개인 이름표만 제거하여 기부
    • 동일한 사이즈의 옷을 함께 묶어서 배출하면 분류 작업 효율성 증대
    • 수거함 위치를 미리 확인하고 여러 벌을 한 번에 기부하여 시간 절약
    요약: 계절에 맞는 시기에 기부, 브랜드 태그 보존, 사이즈별 분류하여 배출
    반응형